Blog
전하량 1/3을 갖는 쿼크
중성자는 업 다운 다운 쿼크 3개로 이루어진다. 업 다운 쿼크의 전하량은 각각 2/3, -1/3이므로 다 합하면 0이다. 중성자는 전하량이 0이니까 맞아 떨어짐
그렇다면 다운과 같이 -1/3전하량을 갖는 스트레인지 쿼크를 이용해도 되지 않을까? 그래서 챗 지피티에 물어봤다. 람다 바리온이라는데 무슨 차이인지에 대해서는 잘 대답을 못했다. 쩝. …
Read more →수능 기하 문제 25번
수능
풀이과정
문제 : 벡터 2a와 벡터 b의 차의 길이가 루트 17일때 a와 b의 차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 여기서 벡터 a의 길이는 루트 11 b의 길이는 3이다.
풀이방법 1. 벡터 a를 (a, b) 벡터 b를 (c, d)로 두고 주어진 문제의 조건 식에 모두 양변을 제곱한다. …
Read more →뻥쟁이 챗지피티
chat got
질문1 : R2에서 행렬식이 기하학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넓이 이므로 두 벡터의 행렬식이 0이 아니면 두 벡터는 선형독립이라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
답변1 : 행렬식이 기하학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행렬식이 0이 아니라고 해서 두 벡터가 선형적으로 독립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올바른 결론이 아닙니다.
선형 대수에서 두 …
Read more →선형결합과 선형변환의 차이
당연하긴 한데 헷갈려서 어떤 부분을 모르고 있었는지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행렬의 선형결합 = Ax 형태로 A행렬에 x벡터를 곱한 형태를 A의 열벡터에 열벡터 x의 각 원소를 곱해서 더한 형태로 표현한다. 왜 이렇게 표현할까 싶었는데 나중에 행렬변환=선형변환(맞나?) 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 근데 선형변환 할때 꼭 행렬형태여야 하나? 벡터만으로는 …
Read more →오늘의 내 질문과 챗지피티의 답
chatgpt
질문 : x=y 를 함수로 볼때와 방정식으로 볼때의 차이점은?
답 : " x=y x=y"를 함수로 볼 때와 방정식으로 볼 때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로 볼 때: "x = y"는 함수로 볼 때, 종종 함수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함수의 정의에서, 하나의 입력값(x)에 대해 오직 하나의 출력값(y)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