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미분류

random_image
미분류
Oct. 25, 2023, 2:55 p.m.

아빠를 보는 시선

아빠가 그렇게 말했다고 한다. ㅎㅎㅎ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Oct. 28, 2023, 9:45 p.m.

기획을 잘 하는법

요구사항분석 흐름에 잘 올라타자 자기만의 시간 나만의 방식 안되면 외우자 관심의 확대 잘한다고 증명된 사람만 따를 필요는 없다. 사실 잘 한다는 기준도 평가하는 사람마다 다르다. 시간의 노예 회사원으로써의 역할과 직무의 차이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Nov. 6, 2023, 3:55 p.m.

애키우기

따지고 보면 어떤일보다 애 키우는 것 : 어엿하게 자기 스스로를 인식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 부모로써 가장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돈을 더 벌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그것이 가장 필요한 일이면서도 가장 까다롭지 않은 실행방법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많은 책을 읽고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Dec. 10, 2023, 5:36 p.m.

전하량 1/3을 갖는 쿼크

중성자는 업 다운 다운 쿼크 3개로 이루어진다. 업 다운 쿼크의 전하량은 각각 2/3, -1/3이므로 다 합하면 0이다. 중성자는 전하량이 0이니까 맞아 떨어짐

그렇다면 다운과 같이 -1/3전하량을 갖는 스트레인지 쿼크를 이용해도 되지 않을까? 그래서 챗 지피티에 물어봤다. 람다 바리온이라는데 무슨 차이인지에 대해서는 잘 대답을 못했다. 쩝.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May 4, 2024, 1:08 p.m.

튜링머신이 유한개인 이유는?

테이프에 사용되는 심볼과 상태 심볼이 유한개이기 때문인것 같은데 정확히 이해되지 않는다. 이것이 먼저 이해되야 하는데.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May 5, 2024, 9:47 a.m.

올해 잔업

불완전성 정리의 완전 이해 - 참고도서

GEB 컴퓨터 과학이 여는 세계 수학적 참과 증명가능성:논문

  • 사전 지식

    칸토어 대각논법

*이후 더 나아가기 http://aitimes.org/wp-content/uploads/2017/02/Allan_turing_Paper_1950_한국어번역.pdf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Dec. 16, 2023, 7:55 p.m.

호기심

예전에는 호기심을 단순히 궁금증이 많은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가 호기심이 많은 사람인가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았다. 아마도 많은것이 어느정도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었기 때문이겠지.

모르는 것이 나오면 관심의 유무에 따라 그것을 더 알아보거나 지나치거나 한다. 매사에 관심이 많았으면 행동여부는 차치하고 더 알아보고자 하는 마음이 더 자주 들었을것 같다.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an. 12, 2024, 9:11 p.m.

조바심? 예언?

지금하는 것들이 오랫동안 해왔던 일인데 만족할 만한 성취를 해낼 수 있을까? 명확한 목표가 없는 것일까? 아니면 그것이 이룰 수 없는 것을 내심 자각하고 있는걸까? 음…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an. 24, 2024, 10:18 a.m.

좌표

좌표 : 기저를 벡터로 표현할때 계수

벡터공간의 벡터 v는 좌표 x 기저로 유일하게 표현되므로 기저를 A → B 로 변경할때 - 기저의 정리를 통해 A의 좌표를 B의 기저로 표현할 수 있다. - B기저는 A기저의 좌표와 1:1매칭이 된다. (위의 정리를 통해) - A의 좌표를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an. 25, 2024, 9:46 p.m.

뒹굴뒹굴

하루종일 뒹굴뒹굴 마음이 편치않다. 이것이 후회인가?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an. 31, 2024, 8:53 a.m.

상대론적 불변성

상대론적 불변성 : 관성계에서 물리법칙이 같은 형식으로 기술된다. → 어떤 관성계에서 성립하고 있는 법칙을 별개의 관성계로 변환(로런츠 변환)했을 때 그 법칙이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는 것

뉴턴의 운동방정식은 로런츠 변환에 불변이 아니다. (갈릴레이 변환 즉 빛의 속도가 가변으로 생각했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맥스웰 방정식이 출발점이다.(맥스웰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an. 31, 2024, 8:59 a.m.

게이지 불변성

게이지 불변성 : 게이지 변환에 대해서 원래의 방정식이 바뀌지 않을때를 말함

왠지 기저가 변경되어도 원래의 방정식이 성립할 경우를 말하는 것 같은데.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April 23, 2024, 12:27 a.m.

나의 즐거움

운동 - 집에 인라인스케이트장이 가까워서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게 되었다. 처음에는 트랙을 빙글빙글 돌기만 하는 운동이 뭐가 재밋나 싶었는데 코너에서 발을 넘기는 기술(크로스 오버)를 잘 하고 싶어서 유투브를 보고 셀프연습 했으나 어설프게는 되었지만 멋지게 되지는 않았다. 마침 아이가 인라인레슨을 받고 있었는데 성인반도 있다고 해서 레슨을 받게 되었고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May 10, 2024, 8:29 a.m.

시간의 방향은 큰 물체에도 적용되는 이유는?

입자의 운동이 열이라서 큰 물체도 원자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일까?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une 3, 2024, 9:32 a.m.

f1 = sinx f2 = cosx 가 만드는 공간이란

직교좌표에서 어떤 직선의 x, y좌표를 각 cos, sin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단순히 벡터공간의 정의로써 두 함수의 합과 상수배가 공간안에 있으면 된다. 어렵네.

우선 1. 위 공간이 만드는 공간에 대한 파악 2. 위 공간의 기저를 찾기 (기저는 선형독립이고 V를 생성해야함)

벡터간 선형결합의 결과가 0벡터일때 해가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une 6, 2024, 9:13 a.m.

하필 그렇게 태어났다.

휴일 아침 인라인스케이트 연습 하고 오는 길에 든 생각. 1. 시간이 없다면 미적분도 없을까? 2. 천재들은 좋겠다. 스케이트 바꾸고 다시 처음부터 운동 시작한 느낌이 들때 3. 투자도 그저 그렇고 일도 그저 그렇고 운동도 그저 그렇고. 하필 그렇게 태어났을까.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une 6, 2024, 6:35 p.m.

하루에 꼴랑 2시간인데 왜 못할까. ㅠㅠ

의 지 박 약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une 10, 2024, 11:47 p.m.

오늘은 비법을 터득하지 못한날

인라인 연습하다 넘어짐 ㅠㅠ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June 21, 2024, 9 a.m.

가역기관에서의 보존되는양 추측

가역기관이 없다고 판단했을텐데 왜 거기서 보존되는 양이 있다고 생각한걸까? 책에는 가역기관이 원래대로 돌아가는 이유는 보존되는 양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써있다. 원래대로 돌아가는데 보존되는 양이랑 어떻게 이어지는지가 의문

→ 일단 논리는 이렇다. (전체 과정에서 온도차에 의한 열의 이동은 없다고 생각해야함) 1. 카르노기관(가역기관)은 부피변화로만 열이 이동하게 하는 기관으로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Oct. 5, 2024, 11:18 a.m.

다항식의 해가 복소수일때 켤레도 해가 되는 이유

우선

실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다항식)의 해가 복소수일 경우, 그 복소켤레도 반드시 해가 되는 이유는 다항식의 계수가 실수라는 조건과 복소켤레의 성질에 기인합니다. 이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리적 과정을 거칠 수 있습니다.

근데 최고차항이 홀수 제곱이면 안되지 않나?

홀수 차수의 다항식은 반드시 적어도 …

Read more →
random_image
미분류
Nov. 5, 2024, 8:27 a.m.

그사람의 질문이 그사람을 알게 한다.

그사람의 질문을 들으면 그 사람이 알고 있는것, 알고자 하는것, 관심여부, 본질을 알고 있는지가 나타난다. 함부로 질문하지 말자. ㅎㅎㅎ

Read more →